호콘 4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콘 4세는 1204년 호콘 3세의 아들로 태어나, 노르웨이 내전 중 바글레르 파벌의 위협을 피해 어린 시절을 보냈다. 1217년 잉에 2세 사후 왕위 계승 분쟁에서 승리하여 노르웨이 국왕이 되었으며, 스쿨레 보르손과의 갈등을 겪었다. 그는 잉글랜드와 통상 조약을 체결하고 한자 동맹과 교역하며 상업을 발전시켰고, 영토를 확장하여 북해의 패권을 장악했다. 또한, 법률 개혁과 유럽 문화를 수용하는 등 내정 개혁을 추진했다. 1263년 스코틀랜드 원정 중 사망했으며,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시대와 학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04년 출생 - 오르다 칸
조치 울루스의 좌익 백장 칸국을 건국한 오르다 칸은 조치의 장남이자 칭기즈 칸의 손자로, 바투 칸을 지지하며 몽골의 루스 침공과 같은 군사 원정에 참여했고 그의 사후에는 콩기란의 후손들이 칸국을 계승했다. - 1204년 출생 - 하인리히 라스페 폰 튀링겐 방백
하인리히 라스페 폰 튀링겐 방백은 1204년경 튀링겐 방백 헤르만 1세의 아들로, 형의 사망 후 섭정을 거쳐 튀링겐 백작위를 차지했으며, 몽골 제국 군을 격퇴하고 독일 왕으로 선출되었으나 콘라트 4세와의 대립 끝에 사망하여 루도빙 가문의 남계 혈통을 단절시켰다. - 외스트폴주 출신 - 카리 메테 요한센
카리 메테 요한센은 1979년 출생하여 라르비크 HK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노르웨이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하며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노르웨이의 은퇴한 핸드볼 선수이다. - 외스트폴주 출신 - 에드윈 루드
노르웨이 출신 공학자이자 발명가인 에드윈 루드는 가스 온수기 분야의 선구자로, 자동 저장 탱크형 가스 온수기 설계 완성 및 루드 제조 회사 설립을 통해 온수기 제조 및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1263년 사망 - 민다우가스
민다우가스는 13세기 중반 리투아니아의 통치자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왕국으로 승격시키고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최초의 리투아니아 국왕이 되었으나, 그의 통치는 내외부 갈등과 1263년 암살로 끝맺었으며 리투아니아 국가의 기초를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 1263년 사망 - 신란
신란은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이자 정토진종의 개창자로,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강조하는 절대 타력의 사상을 설파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교행신증》 등이 있다.
호콘 4세 | |
---|---|
기본 정보 | |
![]() | |
국왕 | 노르웨이 국왕 |
재위 기간 | 1217년 6월 - 1263년 12월 16일 |
대관식 | 1247년 7월 29일 (베르겐) |
선임 국왕 | 잉에 2세 |
후임 국왕 | 마그누스 6세 |
섭정 | 호콘 영왕 (1240–1257) 마그누스 6세 (1257–1263) |
섭정 종류 | 주니어 국왕 |
배우자 | 마르가레트 스쿨레스다테르 (1225년 결혼) |
자녀 | 세실리아, 아일 오브 만 여왕 (사생아) 호콘 영왕 크리스티나, 발데코르네하 영주 마그누스 6세 |
왕가 | 스베레 가문 |
아버지 | 호콘 3세 |
어머니 | 잉아 |
출생일 | ca. 1204년 3월/4월 |
출생지 | 폴켄보리, 노르웨이 |
사망일 | 1263년 12월 16일 |
사망지 | 커크월, 오크니, 노르웨이 |
매장지 | 성 마그누스 대성당, 커크월 (1264년까지) 베르겐 구 대성당 (1531년 파괴) |
이름 | |
노르드어 | Hákon Hákonarson |
IPA (고대 노르드어) | /ˈhɑːˌkon ˈhɑːˌkonɑrˌson/ |
노르웨이어 | Håkon Håkonsson |
추가 정보 | |
![]() |
2. 역사적 배경
호콘 4세는 1204년 호콘 3세 국왕 사후, 바르테이그의 잉가에게서 태어났다.[4] 당시 노르웨이는 내전 시기로, 호콘 3세는 비르케베이너 파벌의 지도자였다. 호콘 4세는 바글레르 파벌이 장악한 지역에서 태어나 위험에 처했다.
바글레르가 호콘을 추적하자, 비르케베이너는 1205년/1206년 겨울에 호콘을 니달로스(현재의 트론헤임)의 잉에 보르드손에게 피신시켰다. 이 과정에서 비르케베이너의 스키 선수 토르스타인 스케블라와 스케르발 스크루카가 호콘을 릴레함메르에서 외스테르달렌까지 안전하게 이동시켰다. 이 사건은 ''비르케베이너렌네트'' 스키 대회로 기념되고 있다.[4][5]
호콘은 베르겐 대성당 학교와 트론헤임 대성당 학교에서 교육받은 최초의 노르웨이 왕이었다.
2. 1. 비르케베이너와 바글레르의 내전
1204년 호콘 3세 국왕이 반대파에 의해 암살된 후, 호콘 4세는 바르테이그의 잉가에게서 태어났다.[4] 아버지 호콘 3세는 진행 중인 내전에서 바글레르 파벌에 맞서 싸운 비르케베이너 파벌의 지도자였다. 호콘 4세가 태어날 당시에는 이미 사망했지만(많은 이들은 스웨덴 계모 마르가레타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믿었다), 잉가의 주장은 왕의 추종자 여러 명의 지지를 받았다.[4] 호콘은 바글레르가 통제하는 지역에서 태어났고, 그의 어머니의 주장은 그들을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했다. 바글레르가 호콘을 추적하기 시작하자, 비르케베이너 무리는 1205년/1206년 겨울에 아이를 데리고 잉에 보르드손, 니달로스(현재의 트론헤임)에 있는 새로운 비르케베이너 왕을 찾아 도망쳤다. 일행이 눈보라를 만나자, 비르케베이너의 최고 스키 선수인 토르스타인 스케블라와 스케르발 스크루카는 아이를 데리고 릴레함메르에서 외스테르달렌까지 산을 넘었다.[4][5]2. 2. 호콘 4세의 출생과 성장
호콘은 1204년 여름, 아마도 3월이나 4월에 포켄보르 (현재의 에이드스베르그)에서 바르테이그의 잉가에게서 태어났다.[4] 아버지는 호콘 3세로 여겨졌으며, 잉가는 1203년 말 보르(현재의 사르스보르그)에 있는 호콘의 숙소에 함께 있었다. 호콘 3세는 진행 중인 내전에서 바글레르 파벌에 맞서 싸운 비르케베이너 파벌의 지도자였다. 호콘 3세는 아들 호콘이 태어날 때쯤에는 이미 사망했지만(많은 이들은 스웨덴 계모 마르가레타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믿었다), 잉가의 주장은 왕의 추종자 여러 명의 지지를 받았다. 호콘은 바글레르가 통제하는 지역에서 태어났고, 그의 어머니의 주장은 그들을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했다. 바글레르가 호콘을 추적하기 시작하자, 비르케베이너 무리는 1205/06년 겨울에 아이를 데리고 잉에 보르드손, 니달로스 (현재의 트론헤임)에 있는 새로운 비르케베이너 왕을 찾아 도망쳤다. 일행이 눈보라를 만나자, 비르케베이너의 최고 스키 선수인 토르스타인 스케블라와 스케르발 스크루카는 아이를 데리고 릴레함메르에서 외스테르달렌까지 산을 넘었다. 그들은 결국 호콘을 잉게 왕에게 안전하게 데려갔다. 이 사건은 오늘날 노르웨이에서 인기 있는 연례 스키 대회인 ''비르케베이너렌네트''로 기념되고 있다.[4][5] 호콘의 극적인 어린 시절은 종종 노르웨이에 기독교를 전파한 전 왕 올라프 1세의 어린 시절과 복음서 및 예수와 비견되었으며, 이는 그의 왕권에 중요한 이념적 기능을 했다.[4]사가에서 호콘은 총명하고 재치 있으며, 나이에 비해 키가 작다고 묘사되어 있다.[5][6] 세 살 때 바글레르에게 붙잡혔지만, 바글레르 왕 필립 시몬손을 자신의 영주라고 부르기를 거부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붙잡힌 후 무사했다). 여덟 살 때 잉게 보르드손 왕과 그의 형제인 광인 호콘 백작이 자신을 제외하고 왕위 계승에 대한 합의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자, 호콘은 자신의 대리인이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합의가 무효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서 자신의 대리인을 "신과 성 올라프"라고 밝혔다.[6] 호콘은 학교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최초의 노르웨이 왕이었다. 내전 시대 후반부터 정부 행정은 점점 더 서면 의사 소통에 의존하게 되었고, 이는 다시 문해력을 갖춘 지도자를 요구했다. 호콘이 광인 호콘의 보살핌을 받으며 베르겐에 있었을 때, 그는 일곱 살에 교육을 시작했고, 아마도 베르겐 대성당 학교에서 시작했을 것이다. 그는 1214년 백작이 죽은 후 트론헤임 대성당 학교에서 잉게 왕 밑에서 교육을 계속 받았다.[5][7] 호콘은 잉게의 아들 구토름과 함께 자랐고, 그들은 똑같이 대우받았다.[8] 열한 살 때 호콘의 친구들 중 일부는 왕에게 호콘에게 통치할 지역을 주라고 요청하여 왕을 도발했다. 호콘은 그들에게 다가가 잉게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라고 촉구했을 때, 어린 나이와 좋지 않은 전망 때문이었고, 또한 잉게와 싸우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으며, 따라서 비르케베이너를 분열시킬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 대신 그는 신에게 때가 되면 아버지의 유산을 나누어 달라고 기도했다.[9]
2. 3. 초기 교육
호콘은 1204년 여름, 아마도 3월이나 4월에 포켄보르 (현재의 에이드스베르그)에서 바르테이그의 잉가에게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일반적으로 호콘 3세로 여겨졌으며, 잉가는 1203년 말에 보르(현재의 사르스보르그)에 있는 호콘의 숙소에 함께 있었다. 호콘 3세는 진행 중인 내전에서 바글레르 파벌에 맞서 싸운 비르케베이너 파벌의 지도자였다. 그의 아들 호콘이 태어날 때쯤에는 이미 사망했지만(많은 이들은 스웨덴 계모 마르가레타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믿었다), 잉가의 주장은 왕의 추종자 여러 명의 지지를 받았다. 호콘은 바글레르가 통제하는 지역에서 태어났고, 그의 어머니의 주장은 그들을 위험한 상황에 놓이게 했다. 바글레르가 호콘을 추적하기 시작하자, 비르케베이너 무리는 1205/06년 겨울에 아이를 데리고 잉에 보르드손, 니달로스 (현재의 트론헤임)에 있는 새로운 비르케베이너 왕을 찾아 도망쳤다. 일행이 눈보라를 만나자, 비르케베이너의 최고 스키 선수인 토르스타인 스케블라와 스케르발 스크루카는 아이를 데리고 릴레함메르에서 외스테르달렌까지 산을 넘었다. 그들은 결국 호콘을 잉게 왕에게 안전하게 데려갔다.[4][5] 이 사건은 오늘날 노르웨이에서 인기 있는 연례 스키 대회인 ''비르케베이너렌네트''로 기념되고 있다.[4]사가에서 호콘은 총명하고 재치 있으며, 나이에 비해 키가 작다고 묘사되어 있다.[5][6] 세 살 때 바글레르에게 붙잡혔지만, 바글레르 왕 필립 시몬손을 자신의 영주라고 부르기를 거부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붙잡힌 후 무사했다). 여덟 살 때 잉게 보르드손 왕과 그의 형제인 광인 호콘 백작이 자신을 제외하고 왕위 계승에 대한 합의를 했다는 것을 알게 되자, 호콘은 자신의 대리인이 참석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합의가 무효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서 자신의 대리인을 "신과 성 올라프"라고 밝혔다.[6] 호콘은 학교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최초의 노르웨이 왕이었다. 내전 시대 후반부터 정부 행정은 점점 더 서면 의사 소통에 의존하게 되었고, 이는 다시 문해력을 갖춘 지도자를 요구했다. 호콘이 광인 호콘의 보살핌을 받으며 베르겐에 있었을 때, 그는 일곱 살에 교육을 시작했고, 아마도 베르겐 대성당 학교에서 시작했을 것이다. 그는 1214년 백작이 죽은 후 트론헤임 대성당 학교에서 잉게 왕 밑에서 교육을 계속 받았다.[5][7] 호콘은 잉게의 아들 구토름과 함께 자랐고, 그들은 똑같이 대우받았다.[8] 열한 살 때 호콘의 친구들 중 일부는 왕에게 호콘에게 통치할 지역을 주라고 요청하여 왕을 도발했다. 호콘은 그들에게 다가가 잉게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라고 촉구했을 때, 어린 나이와 좋지 않은 전망 때문이었고, 또한 잉게와 싸우는 것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으며, 따라서 비르케베이너를 분열시킬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거부했다. 대신 그는 신에게 때가 되면 아버지의 유산을 나누어 달라고 기도했다.[9]
3. 노르웨이의 왕위 계승 분쟁
1217년 잉에 2세가 사망하면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다. 호콘 3세의 아들인 호콘은 비르케베이네르 다수의 지지를 받았다. 반면, 잉에의 이복 형제인 스쿨레 보르손은 니달로스 대주교 등의 지지를 받았으며, 그 외에도 잉에의 사생아 구토름과 호콘 데르 갈의 아들 크누트 호콘손 등이 왕위를 노렸다.[10][11][12]
호콘은 트뢰넬라그와 서부 노르웨이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얻어 1217년 6월 외라팅에서 왕으로 선포되었고, 그 해 말 베르겐의 굴라팅, 보르가팅, 하우가팅과 예타 엘브 동쪽 지역 팅에서도 왕으로 추대되었다.[10]
1218년, 호콘의 어머니 잉가는 베르겐에서 신명재판을 통해 호콘의 왕위 계승 정당성을 입증했다.[5] 이는 호콘의 법적 지위를 강화하고 교회와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14]
이후, 스쿨레와의 권력 분할과 시구르드 리브붕 등의 반란 진압 과정은 '스쿨레 보르손과의 갈등'에서 상세히 다루어진다.
3. 1. 스쿨레 보르손과의 갈등
잉에 2세 국왕이 1217년에 사망한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호콘은 아버지와 할아버지 밑에서 복무했던 베테랑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비르케베이네르의 지지를 받았다. 다른 후보로는 잉에의 사생아 구토름(Guttorm, 곧 포기함), 잉에의 이복 형제인 스쿨레 보르손 백작(Inge의 임종 시 왕의 ''히르드'' 지도자로 임명되었으며, 니달로스 대주교와 일부 비르케베이네르의 지지를 받음), 그리고 호콘 데르 갈(Haakon the Crazy)의 아들 크누트 호콘손 등이 있었다.[10][11][12] 호콘은 트뢰넬라그와 서부 노르웨이에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으며 1217년 6월 외라팅에서 왕으로 선포되었다. 그는 그 해 말에 베르겐의 굴라팅, 보르가팅, 하우가팅과 예타 엘브 동쪽의 지역 팅에서도 왕으로 추대되었다.[10] 스쿨레의 지지자들은 처음에는 호콘의 왕족 혈통에 의문을 제기하려 했지만, 결국 그의 후보에 대한 공개적인 저항을 중단했다. 이 분쟁으로 비르케베이네르가 분열될 수 있었기에, 스쿨레는 호콘이 미성년인 동안 그의 섭정이 되기로 결정했다.[10]왕위 선출 분쟁과 관련하여 호콘의 어머니 잉가는 1218년 베르겐에서 신명재판을 통해 그의 부모 관계를 증명해야 했다.[5] 신명재판의 결과는 그의 왕위의 법적 근거를 강화하고 교회와의 관계를 개선했다.[14] 그러나 사가(saga)에서 호콘이 이미 1217/18년에 일반적으로 왕으로 인정받았다는 주장은 스베레 바게와 같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논쟁이 제기되었다.[15] 스쿨레와 호콘은 행정에서 점점 더 멀어졌고, 스쿨레는 1220년 이후 주로 동부 노르웨이를 통치하는 데 집중했는데, 이는 그가 노르웨이 왕국의 3분의 1로서 1218년에 통치할 권리를 얻었기 때문이다.[5] 1221년부터 1223년까지 호콘과 스쿨레는 각각 노르웨이의 통치자로서 서신을 발행하고 해외에서 공식적인 접촉을 유지했다.[16] 1223년에는 전국에서 온 주교, 성직자, 세속 귀족 및 기타 고위 인물들의 대규모 회의가 베르겐에서 열려 호콘의 왕위 계승 권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왕위의 다른 후보자들은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참석했지만, 호콘은 결국 법정에서 만장일치로 노르웨이 국왕으로 확정되었다.[14]
마지막 바글레르 국왕 필립 시몬손이 1217년에 사망했다. 스쿨레의 신속한 정치적, 군사적 책략으로 비르케베이네르와 바글레르 사이의 화해가 이루어져 왕국이 재통일되었다.[17] 그러나 일부 불만을 품은 바글레르는 새로운 왕위 요구자인 시구르드 리브붕을 찾아 1219년부터 새로운 봉기를 일으켰다. 이 봉기는 동부 노르웨이의 일부 지역에서만 지지를 얻었으며, 바글레르가 이전에 그랬던 것처럼 비켄, 오플란을 장악하지 못했다.[20] 1223년 여름, 스쿨레는 리브붕을 항복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곧 베르겐에서 열린 대규모 회의는 노르웨이 왕국의 분열을 다시 초래하여, 스쿨레는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 동쪽 대신 북쪽의 3분의 1을 장악했다. 1224년, 시구르드는 스쿨레의 감옥에서 탈출했고, 호콘은 동부 노르웨이의 새로운 통치자로서 그와 혼자 싸워야 했다. 스쿨레는 나머지 전쟁 기간 동안 수동적으로 남아 있었고, 호콘에 대한 그의 지원은 미온적이었다.[18] 전투에서 군사적 주도권을 잡은 호콘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음 몇 년 동안 포괄적이고 조직적인 전쟁을 통해 리브붕을 물리쳤다.[20] 캠페인의 일환으로 호콘은 또한 1225년 스웨덴의 베름란드 지역으로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들어가 시구르드를 지지한 주민들을 처벌했다. 시구르드는 1226년에 사망했고, 반란은 1227년에 마지막 지도자인 호콘 데르 갈의 아들 크누트 호콘손의 항복으로 최종 진압되었다.[19] 이로 인해 호콘은 거의 경쟁자 없는 군주가 되었다.[20]

호콘의 고문들은 1219년 호콘과 스쿨레의 딸 마르가레테 스쿨레다테르를 결혼시키는 것을 제안하여 호콘과 스쿨레를 화해시키려 했다. 호콘은 그 제안을 받아들였지만(그는 정치적으로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호콘과 마르가레테의 결혼은 시구르드와의 갈등 때문에 1225년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콘과 스쿨레의 관계는 1230년대에 더욱 악화되었고, 1233년과 1236년에 열린 회의에서 타협하려는 시도는 그들을 더욱 멀어지게 만들었다.[22] 두 사람은 주기적으로 화해하고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지만, 사가에 따르면, 소문과 중상모략을 통해 서로를 이간질하는 사람들의 음모로 인해 그들의 우정은 파괴되었다.[21] 스쿨레는 1237년에 노르웨이에서 최초로 공작(''hertug'')이라는 칭호를 받았지만, 지역을 통제하는 대신 노르웨이 전역에 흩어져 있는 ''syssels''의 3분의 1에 대한 수입을 얻을 권리를 얻었다. 이것은 호콘이 스쿨레의 권력을 제한하려는 시도의 일환이었다. 1239년에 두 사람 사이의 갈등은 스쿨레가 스스로 왕을 선포하면서 공개적인 전쟁으로 폭발했다. 그는 트뢰넬라그, 오플란, 동부 비켄에서 약간의 지지를 받았지만, 호콘의 군대에 맞설 수 없었다.[22] 이 반란은 스쿨레가 1240년에 사망하면서 끝났고, 호콘은 노르웨이의 명실상부한 왕으로 남았다.[5] 이 반란은 일반적으로 노르웨이의 내전 시대의 최종 종말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0]
3. 2. 왕위 계승 확정
1217년 잉에 2세 국왕이 사망한 후 왕위 계승 분쟁이 벌어졌다. 호콘은 아버지와 할아버지 밑에서 복무했던 베테랑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비르케베이네르의 지지를 받았다. 다른 후보로는 잉에의 사생아 구토름, 잉에의 이복 형제인 스쿨레 보르손 백작, 크누트 호콘손 등이 있었다.[10][11][12] 호콘은 트뢰넬라그와 서부 노르웨이에서 광범위한 대중적 지지를 받으며 1217년 6월 외라팅에서 왕으로 선포되었다. 그 해 말에 베르겐의 굴라팅, 보르가팅, 하우가팅과 예타 엘브 동쪽의 지역 팅에서도 왕으로 추대되었다.[10] 스쿨레의 지지자들은 처음에는 호콘의 왕족 혈통에 의문을 제기하려 했지만, 결국 그의 후보에 대한 공개적인 저항을 중단했다. 이 분쟁으로 비르케베이네르가 분열될 수 있었기에, 스쿨레는 호콘이 미성년인 동안 그의 섭정이 되기로 결정했다.[10]1218년 베르겐에서 호콘의 어머니 잉가는 신명재판을 통해 그의 부모 관계를 증명해야 했다.[5] 신명재판의 결과는 그의 왕위의 법적 근거를 강화하고 교회와의 관계를 개선했다.[14] 그러나 사가(saga)에서 호콘이 이미 1217/18년에 일반적으로 왕으로 인정받았다는 주장은 스베레 바게와 같은 현대 역사가들에 의해 논쟁이 제기되었다.[15] 스쿨레와 호콘은 행정에서 점점 멀어졌고, 스쿨레는 1220년 이후 주로 동부 노르웨이를 통치하는 데 집중했는데, 이는 그가 노르웨이 왕국의 3분의 1로서 1218년에 통치할 권리를 얻었기 때문이다.[5] 1221년부터 1223년까지 호콘과 스쿨레는 각각 노르웨이의 통치자로서 서신을 발행하고 해외에서 공식적인 접촉을 유지했다.[16] 1223년 베르겐에서 전국에서 온 주교, 성직자, 세속 귀족 및 기타 고위 인물들의 대규모 회의가 열려 호콘의 왕위 계승 권리를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왕위의 다른 후보자들은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참석했지만, 호콘은 결국 법정에서 만장일치로 노르웨이 국왕으로 확정되었다.[14]
4. 통치
1217년 잉글랜드의 헨리 3세와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노르웨이는 절인 청어, 건어물, 목재 등을 수출하고 잉글랜드로부터 곡물, 무기, 모직물 등을 수입하며 크게 발전했다. 1250년에는 한자 동맹과 통상 조약을 체결했으나, 독일 도시들이 노르웨이 상업을 주도하게 되었다.[34]
호콘 4세는 옛 귀족을 폐지하고 농민을 상류층에 편입시켰으며, 법률과 관습을 성문화하여 살인, 유부녀 약탈, 친족 간 피의 복수를 금지하는 등 노르웨이 사회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왕실 고문 회의 기구를 설립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적자에 의한 왕위 계승법을 제정하는 등 정치 체제를 확립했다.[5]
무역으로 얻은 재산을 통해 군사력을 증강하고 영토 확장을 추진하여, 스칸디나비아반도의 2/3,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맨섬, 스코틀랜드 일부를 포함하는 북해 패권을 장악했다.[5] 그러나 대규모 원정, 새 영토 개척, 대성당 및 수도원 건설, 서양 문물 번역 등으로 인해 치세 말기에는 심각한 재정난을 겪었다.[5]
1247년 로마 교황 사절단으로부터 왕관을 받았다.
4. 1. 내정 개혁
1217년 귀족들의 지원을 통해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한 호콘 4세는 친정을 시작한 이후 옛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농민의 상류층 편입을 장려하는 등 노르웨이 사회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5] 또한, 법률과 관습을 성문화하여 살인, 유부녀 약탈, 친족에 의한 피의 복수 등을 금지했다.[5]호콘 4세는 왕실 고문 회의 기구를 설립하여 왕권 강화를 추진했으며, 1260년에는 적자에 의한 왕위 계승법을 제정하여 노르웨이의 정치 체제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9] 이러한 법적 개혁은 공공 정의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의 아들 망누스 6세를 위해 쓰여진 교육 텍스트인 ''왕의 거울''(Konungs skuggsjá)에도 잘 나타나 있다.[29]
또한, 베르겐의 왕실 영지에 유럽 양식의 석조 궁전을 건설하는 등 유럽 문화와의 교류를 확대했다.[5] 튀니스의 술탄에게 매(gyrfalcon)와 사절단을 보내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며,[5] 프랑스 및 잉글랜드 궁정에서 유래한 영웅적-낭만적 문학, 특히 샤를마뉴에 관한 ''무훈시''(chansons de geste)와 아서 왕 (아서 왕 전설)에 대한 이야기를 고대 노르드어로 번역하여 소개했다.[28] 최초로 번역된 작품은 트리스탄과 이졸데로, 이는 새로운 노르드 기사도 로맨스 장르의 출현을 이끌었다.[28]
4. 2. 대외 관계
1217년 잉글랜드의 헨리 3세와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양국은 크게 발전하였다. 1250년에는 한자 동맹과 통상 조약을 맺어 번영을 가져왔지만, 독일 도시들이 노르웨이의 상업적 주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1247년에는 로마 교황 사절단으로부터 왕관을 받았다.호콘 4세는 교황 그레고리오 9세의 인정을 받는 데 실패했지만, 교황 인노첸시오 4세로부터 빠르게 지지를 얻었다. 이는 인노첸시오 4세가 신성 로마 제국 프리드리히 2세와의 갈등에서 동맹을 모색했기 때문이다.[27] 프랑스의 루이 9세는 호콘에게 십자군에 합류하여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하자고 제안했지만, 호콘은 거절했다.[26]
스칸디나비아에서 호콘은 엘벤 주변 국경 지역에서 이웃 통치자들과 정기적으로 만났고, 대규모 함대를 사절단으로 보냈다.[34] 덴마크의 크리스토퍼 1세와의 1257년 평화 협정에서 할란드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36]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모색했는데, 이는 잉글랜드 왕국에서 곡물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카스티야에 새로운 곡물 공급을 보장하고, 노르웨이가 뤼베크를 통제하여 발트해 곡물에 접근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38][37] 알폰소는 북유럽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장하고, 모로코 십자군에 대한 노르웨이 해군 지원을 얻으려 했다.[32] 1255년 카스티야에 사절단을 보냈고, 카스티야 대사는 호콘과 "가장 강력한 우정의 유대"를 맺을 것을 제안했다.[39]
4. 2. 1. 잉글랜드와의 관계
1217년 잉글랜드의 헨리 3세 국왕과 통상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에 따라 노르웨이는 특산품인 절인 청어, 건어물과 같은 해산물, 목재 등을 다른 나라에 수출하고 잉글랜드로부터는 곡물, 무기, 모직물을 수입하는 무역을 통해 크게 발전했다.4. 2. 2. 한자 동맹과의 관계
1250년 한자 동맹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면서 독일의 여러 도시들이 노르웨이의 상업을 주도했다.[34] 이 조약으로 뤼베크에서 발트해 곡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고[5], 하콘은 황제 프리드리히 2세로부터 뤼베크 시의 통제권을 제안받기도 했다.[35]뤼베크와의 관계는 잉글랜드 왕국에서 곡물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카스티야의 알폰소 10세와 동맹을 모색하는 배경이 되었다. 이를 통해 카스티야에 새로운 곡물 공급을 보장하고, 노르웨이가 뤼베크를 통제하여 발트해 곡물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2. 3. 교황청과의 관계
호콘 4세는 사생아로 태어났기 때문에 초기에는 교황청으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유럽의 왕으로서 완전한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했다. 여러 교황 위원회가 이 문제를 조사했고, 호콘 4세는 자신의 적자인 호콘 얀그를 후계자로 선언했다. 그는 교황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십자군 참여 서약을 하기도 했다. 1241년에는 이 서약을 북방 이교도에 대한 전쟁으로 변경했고, 카렐리안 집단을 기독교화하여 교황청을 기쁘게 했다. 1247년 사비나의 추기경 윌리엄은 베르겐으로 와 호콘 4세에게 왕관을 수여하였다.[27]4. 3. 군사적 팽창
호콘 4세는 무역으로 얻은 재산을 바탕으로 군사력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영토 확장을 추진했다. 호콘 4세의 통치 기간 동안 노르웨이는 스칸디나비아반도의 2/3,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맨섬, 스코틀랜드 일부 지역을 포함하는 방대한 영토를 확보하여 북해의 패권을 장악했다.[5]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원정과 새로운 영토 개척, 노르웨이 각지에서 진행된 대성당 및 수도원 건설, 서양 문물의 번역 등은 치세 말기에 심각한 재정난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호콘 4세는 서부 지역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40] 특히 잉글랜드 왕국과의 우호 및 무역 관계는 그의 외교 정책의 핵심이었다.[41][42] 1217년부터 1223년 사이에 잉글랜드와 최초의 노르웨이 무역 협정이 체결되었으며, 이는 잉글랜드가 맺은 최초의 상업 조약이기도 했다.[41][42]
호콘 4세는 헤브리디스 제도, 맨 (아이슬란드 왕국), 셰틀랜드 제도 및 오크니 제도 (오크니 백국), 페로 제도 등 서부 섬들에 대한 노르웨이의 주권을 확고히 하고자 했다.[5] 그린란드의 노르웨이 공동체는 1261년에 노르웨이 왕에게 복종하기로 했으며, 1262년에는 아이슬란드의 내부 갈등을 이용하여 왕국에 병합함으로써 오랜 목표를 달성했다.[44] 이로써 호콘 4세 통치 말기 노르웨이 왕국은 역사상 최대 규모가 되었다.[5]
4. 3. 1. 스코틀랜드 원정
1263년 스코틀랜드와의 분쟁으로 인해 호콘 4세는 헤브리디스 제도로 원정을 떠났다. 1262년에 스코틀랜드 귀족들이 헤브리디스를 습격했고, 알렉산더 3세가 섬을 정복할 계획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1263년에 호콘 4세는 최소 120척의 ''레이당'' 함대를 이끌고 원정을 시작했다.[46] 그는 위협적인 함대를 배경으로 협상하는 데 익숙했다.[34] 함대는 7월에 베르겐을 출발하여 8월에 셰틀랜드 제도와 오크니 제도에 도착했고, 헤브리디스와 맨의 족장들이 합류했다. 알렉산더 3세는 노르웨이의 스코틀랜드 본토 상륙 후 협상을 시작했지만, 스코틀랜드인들은 의도적으로 협상을 연장했다.[46] 스코틀랜드인들은 9월과 10월까지 호콘의 함대에 문제를 일으킬 날씨를 기다렸다. 스코틀랜드군은 라르그스 전투 (10월 2일)에서 더 작은 노르웨이군과 만났다. 전투는 결정나지 않았지만 호콘은 겨울을 위해 오크니로 철수했다.[46][48]호콘 4세는 다음 해에 원정을 재개할 계획으로 오크니 커크월의 주교 궁전에서 겨울을 보냈다.[52] 그러나 커크월에 머무는 동안 병에 걸려 1263년 12월 16일 이른 시간에 사망했다.[53][54]
4. 4. 문화 정책
1240년 자신의 입지를 굳힌 호콘 4세는 유럽 문화와의 접촉이 점차 가까워짐에 따라 왕권의 우위를 과시하는 데 집중했다. 그는 주로 베르겐의 왕실 영지에 여러 기념비적인 왕실 건물을 지었는데, 이곳에 유럽 양식의 석조 궁전을 건설했다. 그는 다른 스칸디나비아 통치자들을 만날 때 웅장한 왕실 선단을 사용했으며, 다른 유럽 통치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편지와 선물을 보냈다. 그의 가장 광범위한 접촉은 튀니스의 술탄에게 매(gyrfalcon)와 사절단을 보냈을 때 이루어졌다.[5]베르겐의 왕실은 또한 노르웨이 대중에게 처음으로 소개된 진정한 유럽 문학을 수입하고 번역하기 시작했다. 당시 인기 있던 문학은 프랑스 및 영국의 궁정에서 파생된 영웅적-낭만적 문학이었는데, 특히 샤를마뉴에 관한 ''무훈시''(chansons de geste) (프랑스 문제)와 아서 왕 (아서 왕 전설)에 대한 이야기였다. 고대 노르드어로 번역된 최초의 작품은 아서 왕 낭만 이야기인 ''트리스탄과 이졸데''로, 젊고 새로 결혼한 호콘의 명령에 따라 1226년에 완성되었다고 한다. 호콘의 이러한 정책은 새로운 노르드 기사도 로맨스 장르의 출현에 불을 지핀 것으로 보인다.[28]
호콘은 또한 인기 있는 종교 텍스트인 ''툰달의 환시''를 ''두갈의 인도'' (Duggals leiðsla)로 고대 노르드어로 번역했다. 이 문학은 여성들에게도 어필했는데, 호콘의 아내 마르그레테와 그의 딸 크리스티나 모두 풍성하게 삽화가 그려진 시편을 소유했다.[28]
그는 예술에 대한 조예가 깊어,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비롯한 많은 이야기를 노르웨이어로 번역하게 했다.
5. 죽음과 유산
1263년 스코틀랜드 오크니 제도 원정 도중 병으로 쓰러져 급사한 호콘 4세의 죽음은 노르웨이의 급격한 쇠퇴를 가져왔다. 그의 왕위는 아들 망누스 6세가 계승했다. 호콘 4세의 통치 기간 동안 노르웨이는 적극적인 영토 확장 정책을 통해 스칸디나비아반도의 2/3,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맨섬, 스코틀랜드 일부를 지배하며 북해의 패권을 장악했다.[1] 그러나 대규모 원정과 새로운 영토 개척, 대성당 및 수도원 건설, 서양 문물 번역 등 대규모 사업으로 인해 심각한 재정난을 초래했다.[1]
호콘 4세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다. 19세기 P. A. 문크는 그를 강력하고 흠잡을 데 없는 통치자로 묘사한 반면,[5] 20세기 초 한스 E. 킨크는 호콘 4세를 외부 힘에 휘둘리는 무능한 왕으로 평가했다.[5][59] 1960년대 이후 역사학자들은 할브단 코트의 견해에 반발하며 호콘 4세의 능력을 재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58] 크누트 헬레는 호콘 4세가 독립적이고 의지가 강한 통치자였으며, 왕권 통합, 유럽 문화 지향, 공격적인 외교 정책 등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추구된 정책에 대해 상당한 개인적 책임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9]
5. 1. 죽음
1263년 스코틀랜드 오크니 제도 원정에 나섰다가 병으로 쓰러져 12월 16일 급사했다. 이를 계기로 노르웨이는 급속히 쇠퇴하게 된다. 노르웨이의 왕위는 아들인 망누스 6세가 승계받았다.호콘 4세의 만년은 재정난에 따른 국력 저하와 국내 외국 상인의 대두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었다.[1] 게다가 북해 제도의 영유권을 두고 스코틀랜드 왕국과 대립하였고, 1262년에는 헤브리디스 제도가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했다.[1] 호콘 4세는 문제 해결을 위해 직접 군대를 이끌고 스코틀랜드 원정을 결심했다.[1]
1263년 말, 200척의 배와 1만 5000명으로 구성된 대군을 이끌고 스코틀랜드로 향했지만, 스코틀랜드 해안 주변에서 폭풍을 만나 큰 타격을 입었다.[1] 로몬드 호에서는 40척의 배가 육지로 끌려갈 정도였다고 한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에 상륙했지만, 라그스의 전투에서 알렉산더 3세가 이끄는 스코틀랜드 군에게 크게 패했다.[1]
전투 후 악천후 속에서 노르웨이 및 맨섬 동맹군은 오크니 제도까지 철수해야 했다.[1] 커크월에 도착한 호콘 4세는 주교관에서 겨울을 보내고 다음 해 여름에 스코틀랜드 원정을 재개할 계획이었다.[1] 그러나 호콘 4세는 병에 걸려 1263년 12월 15일에 급사했고, 재원정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 이로 인해 노르웨이는 헤브리디스 제도를 잃었고, 호콘 4세 사후 왕국은 급속히 쇠퇴했다.[1]
5. 2. 역사적 평가
노르웨이 역사가들은 호콘 4세의 통치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여왔다. 19세기에 P. A. 문크는 호콘 4세를 강력하고 거의 흠잡을 데 없는 통치자로 묘사했고, 이는 1863년 헨리크 입센의 희곡 ''사칭자''에 영향을 미쳤다. 20세기 초 시인 한스 E. 킨크는 이에 반박하며 호콘 4세를 자신의 통제 밖의 힘에 종속된 무의미한 왕으로 보았고, 이는 할브단 코트와 에드바르 불, 시니어와 같은 역사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5][59]호콘 4세는 종종 스쿨레 보르드손과 비교되었고, 역사학자들은 이 오래된 갈등에서 편을 갈랐다. 문크가 스쿨레를 정당한 노르웨이 왕에 대한 반역자로 본 반면, 코트는 스쿨레를 영웅적인 인물로 보았다. 더 모호한 근거에서 킨크는 스쿨레를 원래의 쇠퇴해가는 노르드 문화를 대표하는 인물로, 호콘 4세를 외래 문화를 흉내내는 피상적인 인물로 칭찬했다.[59] 1960년대 이후 나르베 비외르고, 페르 스베아스 안데르센, 크누트 헬레, 스베인 하가, 코레 룬덴을 포함한 역사학자들은 코트의 견해에 반발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스베레 바게에 따르면 현대 역사학자들은 스쿨레의 반란을 호콘 4세가 스쿨레의 권력을 침해하는 것을 막기 위한 마지막 필사적인 시도로 보는 점에 있어서는 코트를 따르지만, 두 인물에 대한 문크의 전반적인 평가에 더 가깝게 기울어진다.[58]
크누트 헬레는 사가가 스쿨레를 숙련된 전사이자 정치가로 보이게 만들었다고 해석하면서도, 사가의 저자가 호콘 4세와의 갈등에서 스쿨레의 역할에 대한 모호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만들었다고 지적한다. 반면에 헬레는 스쿨레가 1217년 직후 수년 동안 호콘 4세의 지지자들에게 비교적 쉽게 책략으로 밀렸으며, 이는 그의 능력이 제한적이었음을 시사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호콘 4세에 대한 명확한 그림을 제시하지 않으면서도, 헬레는 호콘 4세가 초기에 정치 게임을 "분명히" 숙달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호콘 4세를 독립적이고 의지가 강한 통치자로 해석하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추구된 정책, 특히 왕권의 내부 통합, 유럽 문화 지향, 공격적인 외교 정책에 대해 "상당한 개인적 책임"을 부여한다.[59] 노르스크 전기 사전에 실린 그의 기사에서 크누트 헬레는 호콘 4세가 통치 말기에 (그가 직접 발전시킨) 왕권의 강력한 제도적 지위에 의해 권한을 부여받았고, 그의 정책이 항상 성공적이지는 않았음을 인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레는 호콘 4세가 그의 통치를 시작했던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가져야 했던 상당한 정치적 능력과 강력한 결단력을 인정한다.[5]
6. 가족 관계
호콘 4세는 1225년에 자신의 정적이자 장인이었던 스쿨레 바르드손의 딸 마르그레테 스쿨레다터와 결혼하였다.[5] 슬하에 다음과 같은 자녀를 두었다.[60]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올라프 | 1226년 | 유아기 | 요절[60] |
젊은 호콘 | 1232년 | 1257년 | 1251년 스웨덴 정치가 비르예르 야를의 딸 리키사 비르예르스도터와 결혼. 1240년 아버지에 의해 왕 및 공동 통치자로 임명되었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62] |
크리스티나 | 1234년 | 1262년 | 1258년 카스티야의 펠리페와 결혼, 알폰소 10세의 형제. 자녀 없이 사망.[63] |
마그누스 6세 | 1238년 | 1280년 | 1261년 덴마크 에리크 4세의 딸 잉에보르와 결혼. 젊은 호콘의 사망 후 왕 및 공동 통치자로 임명. 노르웨이 왕으로 아버지의 뒤를 이음. |
1225년 이전에는 젊은 캉가 아브 폴킨베르그(이름만 알려짐, 1198–1225)라는 정부를 두었다.[5] 이 둘 사이에서는 3명의 사생아가 있었다.[60]
이름 | 사망 | 비고 |
---|---|---|
시구르 | 1252년 | [60] |
세실리아 | 1248년 | 1241년 마지막 바글러 왕 필립 시몬손의 조카인 렌드만 그레고리우스 안드레손과 결혼. 1246년 과부가 된 후, 1248년 하랄드 올라프손, 맨 섬 및 아일스 왕과 결혼. 같은 해 영국으로 돌아가는 항해에서 익사.[61] |
코네 | (c. 1225 -) | 1258년 문서에 언급된 토랄데 군나르손 휘테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다. |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뉴스
Da birkebeinerne skapte historie
http://www.aftenpost[...]
2011-10-19
[5]
웹사이트
Haakon 4 Haakonsson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2012-04-01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웹사이트
Issuing Authorities: Håkon Håkonsson's coinage
http://www.dokpro.ui[...]
University of Oslo
2012-04-22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간행물
Håkon 4 Håkonsson
http://snl.no/H%C3%A[...]
Store Norske Leksikon
2013-03-18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웹사이트
Diplomatarium Norvegicum XIX
http://www.dokpro.ui[...]
University of Oslo
2012-04-12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웹사이트
Eske Bille
http://snl.no/Eske_B[...]
Store norske leksikon
2012-04-26
[56]
웹사이트
Tord Roed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2012-04-26
[57]
뉴스
En norsk kongegrav
http://www.aftenpost[...]
2011-10-19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웹사이트
Kristin Håkonsdatter
http://snl.no/.nbl_b[...]
Store norske leksikon
2012-04-12
[64]
웹사이트
Les mascottes des Jeux Olympiques d’hiver d’Innsbruck 1976 à Sotchi 2014
http://www.olymp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